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에너지정책 패러다임 대전환기下] LNG 확대 기조에도 열병합발전이 웃지 못하는 이유
- ‘고효율ㆍ친환경ㆍ송전편익’ 다 갖춘 열병합발전 고사위기
- 연료비 정산 현실화 없이는 생존 담보 못해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신재생에너지인 LNG 발전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역으로 집단에너지 사업자들의 고충은 가중되고 있다. 연료비 정산 현실화 등이 수반되지 않은 채로 단순히 LNG의 발전 비중(가동률)만 늘려서는 생존을 담보할 수 없다는 지적이 업계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22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2016년 기준 35개 집단에너지사업자 중 3분에 2에 달하는 24개 회사가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기업인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전력과 전력공급계약을 맺고 있는 GS파워 두 곳을 제외하고 보면 업계는 2011년 이후 매년 1500억원 내외의 만성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집단에너지사업자들은 새 정부 출범 이후 LNG 발전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감돌고 있지만 구체적인 대책 없이면 업계의 고사 위기는 계속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집단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열병합발전소의 열 판매단가는 한국지역난방공사의 110%를 넘지 못하게 돼있고, 함께 생산되는 전기의 경우 생산원가와 전력도매단가 중 낮은 값으로 정산받고 있다”며 “열과 전기 어느 부문에서도 수익을 내기 힘든 구조”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애초 난방용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기 위한 설비인데 전기만 생산하기 위한 발전설비와 똑같은 조건에서 원가경쟁을 벌여야 하는 전력시장 구조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단순 전기생산만 놓고 보면 열과 전기를 모두 생산하기 위해 고안된 설비의 기술적 특성으로 열병합발전은 일반 발전소에 비해 효율이 낮지만 전력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해 난방용 열을 생산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이용 효율은 일반 발전소에 비해 월등하다는 게 집단에너지업계의 입장이다.

위기가 계속되자 유정준 집단에너지협회장(SK E&S 사장)도 지난 15일 에너지미래포럼에 참석한 자리에서 연료비 정산 현실화등으로 고사 위기에 처한 사업자들의 생존을 보장해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전력 수요지 인근에 위치해 일반 발전소에 비해 투자비, 부지비 등이 높은 분산형전원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친환경연료에 가산점을 주는 방식으로 고정비(CPㆍ용량요금) 보상을 확대해 달라는 요청도 이어졌다.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통한 지원 재개 요청도 나왔다. 열병합발전에는 지난 2001년부터 9년간 총 5205억원이 지원됐지만 2010년 이후 전무한 상태다.

유 협회장은 “친환경 분산형전원으로 기여하고 있는 집단에너지 열병합발전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곧 발표될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에 구체적인 지원방안이 반영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badhone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