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평창문화올림픽’ 방향조차 없어
지난주 문화체육관광부는 평창동계올림픽ㆍ패럴림픽을 200일 남짓 앞두고 문화올림픽 미디어간담회를 진행했다. 문화올림픽은 개최국의 문화를 제대로 보여줄 수 있고 분위기를 붐업하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각 개최국들이 공들여 준비한다. 문체부도 평창이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4년전부터 ‘문화올림픽’을 강조해왔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날 정부가 발표한 G-200 평창 문화올림픽은 몹시 실망스러웠다. 문체부, 조직위, 강원도 등 3개 기관의 협력으로 150여개 문화 이벤트가 진행될 것이라고 했지만 고개를 갸웃거릴 수 밖에 없었다. 문화올림픽을 꿰뚫는 정책기조와 방향성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행사 전체를 아우르면서 올림픽의 정신과 연결되는 중심개념 없이 그저 기존의 행사나 급조한 프로그램을 줄줄이 나열하는 식이었다. 문화올림픽이 무얼 지향하는지. 또 전체적인 행사의 짜임새, 즉 공연과 전시의 비중, 한국 전통문화와 동시대문화의 적절한 조화, 국민참여형행사와 고급문화를 어느정도 배치할지 등에 대한 그림이 전혀 없었다. 그런데도 인재진 총괄기획자는 이를 ‘다양성과 연결’이라는 말로 포장했다.

사실 이런 사태는 예고된 거나 다름없다. 인재진 기획자는 지난 4월에야 문화올림픽에 합류했다. 최순실 국정농단과 블랙리스트사태로 수장 없이 손 놓고 지낸 문체부의 상황에서 그가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었다.

그렇지만 이 행사에 국민의 세금 수백억원이 투입된다는 사실을 직시하면, 그냥 넘어갈 일은 아니다. 문화올림픽에는 올해 내년 문체부 예산이 약 370억원, 추경으로 강원도 문화올림픽 붐업 예산 약 150억원이 책정됐다.

문화올림픽은 부수적인 행사지만 이를 통해 엄청난 국익을 챙길 수 있는 통로이기도 하다.

평창문화올림픽을 보면서 더 걱정스러운 건 현 정부의 문화정책 방향이다. 블랙리스트 청산을 기치로 내건 도종환 장관의 문체부는 ‘지원은 하되 간섭은 않는다’는걸 무슨 금과옥조처럼 내걸고 있다. 팔길이 원칙에 너무 충실한 나머지 정책 기조도 방향도 없이 그저 지원기관으로 기능하고 있다. 문체부 한 관계자는 “우리는 관제행사를 치르는게 아니다. 행사가 잘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문체부 역할이다”고 했다.그렇더라도 최소한의 정책적 가이드라인은 필요하다. vicky@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