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어린이집ㆍ병원 등 집단시설 직원 10명 중 2명은 ‘잠복결핵’
-집단시설 종사자 12만명 중 21.4% 잠복결핵 감염 양성
-결핵균에 감염돼 있지만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상태
-40세 건강검진에서 잠복결핵 검진 시행 미뤄줘
-환자 매년 3만명 발생, 2000명 사망…대비 필요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어린이집, 의료기관, 학교 등 집단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 10명 중 2명은 잠복결핵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집단시설은 여러 사람이 모여 생활하는 환경이기 때문에 결핵과 같은 전염균의 전파 위험이 높아 시급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결핵 안심국가’ 추진 사업의 하나로 올해 3월부터 의료기관,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집단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잠복결핵 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설명=대한결핵협회가 쪽방촌 주민들을 대상으로 결핵검진을 하고 있다. 제공=연합뉴스]

질본은 집단시설 종사자 37만 8000명의 33.8%인 12만7619명에 대해 검진을 추진했고 그 결과 21.4%에 해당하는 2만7256명이 잠복결핵 양성자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즉 집단시설 종사자 10명 중 2명은 결핵균을 가진 셈이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에 감염돼 있지만 결핵이 발병하지는 않은 상태를 말한다. 증상이 없고 결핵균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아 다른 사람에게 결핵을 전파하지 않는다.

하지만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결핵이 발병할 수 있어 그야말로 결핵이 일시적으로 잠을 자고 있는 셈이다.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결핵이 발병해 주위 사람들에게 균을 전파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결핵 후진국에 속할 만큼 결핵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2012년 이후 발생률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한 해 발생하는 결핵환자는 3만명 이상이다. 이에 결핵으로 사망하는 사람도 매년 2000명 이상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질본은 결핵 전파 위험이 큰 집단시설에서 결핵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결핵 안심국가 실행계획’을 올 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 중이다.

한편 당초 올 해부터 실시가 예정됐던 생애주기별 대상자 만 40세 건강진단 대상자 64만명의 잠복결핵 검진 사업은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

질본은 결핵전문위원회에서 결핵 치료제 신약 리파펜틴 도입의 애로 등 여러 측면을 논의한 결과 만 40세 검진 사업은 시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권고ㆍ의결되었다고 밝혔다.

질본 관계자는 “신약(리파펜틴) 신속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을 실시 중에 있으나 결핵전문위원회에서는 리파펜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추가적인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한편 질본은 ‘제2기 결핵관리종합계획’을 수립 중이라고도 밝혔다.

이번 계획은 노인과 외국인 등의 결핵 관리와 다제내성 결핵 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결핵은 특히 노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매년 신규 환자의 40%는 65세 이상 노인이며 결핵 사망자의 78.6%를 노인 환자가 차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는 다제내성 결핵 환자가 늘고 있다. 다제내성 결핵은 결핵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항생제가 듣지 않는 균으로 이렇게 되면 치료가 매우 어려워진다.

질본은 “철저한 결핵환자 관리 및 학교 등 집단시설 내 역학조사 실시로 결핵발생률 감소에 기여가 컸던 것으로 평가되는 ‘결핵역학조사’와 ‘민간ㆍ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PPM)’이 보다 체계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잠복결핵감염 검진과 치료가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잠복결핵감염 치료 의료기관 네트워크 구성 및 의료인 교육을 실시해 치료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