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 포럼 - 김원동> 고리 1호기의 새 출발을 기다리며
고리 1호기 안전성 공식 확인 불구
설명회 등 불신해소 만전 기할 것
방치 땐 월 450억원 추가비용 발생
뼈를 깎는 자기혁신 통해 새 출발



지난 7월 4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리 원전 1호기의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 최종 판단, 재가동을 허용한 바 있다. 정전 은폐 사고로 가동을 정지한 지 4개월여 만이다. 하지만 재가동 시기는 지역과의 충분한 소통과 공감대가 이뤄진 뒤 결정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식경제부 및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 측은 주민들의 의혹 해소 차원에서 설명회를 잇달아 열고 있다. 또 주민들이 추천하는 민간전문가로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 점검 결과를 검증하는 일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일부 지역단체들은 여전히 고리 1호기를 불신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최근 지역주민들과 일부 시민단체들은 또다시 원자로용기의 건전성을 문제 삼으며 고리 1호기의 폐쇄를 주장하고 있다. 고리 1호기 원자로용기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열충격을 받게 되면 유리처럼 쉽게 깨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천부당만부당한 얘기다. 원자로는 비상노심냉각의 경우에도 계통 내에 있는 기존 냉각수와 긴급 주입된 냉각수가 뒤섞여 직접적으로 내벽에 그리 큰 열충격이 전달되지는 않는다. 또 원자로용기의 가압 열충격 기준온도도 허용기준인 섭씨 149도 이하를 만족한다. 따라서 두께 17㎝의 합금강으로 이뤄진 원자로용기가 유리컵처럼 쉽게 깨지는 일은 있을 수 없다.

한수원은 이미 지난 2007년 고리 1호기 계속운전을 위한 안전성 심사 때 이를 증명하기 위해 계속운전이 종료되는 40년에 상당하는 중성자 조사량을 가진 동일한 재질의 금속조각, 즉 시편을 사용한 검사를 제3의 공인기관에 의뢰해 수행한 바 있다. 그 결과 계속운전 기간에도 원자로용기의 파손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참고로 당시 원자로용기의 건전성 문제는 안전성 심사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사항으로 선정됐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박사급 전문인력 100여명이 참여해 18개월 동안 충분한 평가를 시행했다. 물론 지역주민과 국민들은 생명과 안전이 걸린 문제여서 사업자의 설명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재가동 시기를 불신 해소 후로 정한 정부 방침은 매우 적절했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고리 원전과 그 주변에는 지역주민들뿐 아니라 수천명의 한수원 직원, 그리고 직원 가족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만약 원전 안전성에 대한 확신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사실 멀쩡한 고리 1호기의 재가동이 늦춰질수록 상당한 비용 지불이 불가피하다. 1㎾h당 천연가스(LNG)의 판매단가는 147원으로, 원자력 판매단가 40원의 3.7배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고리 1호기의 하루 전력생산량에 대한 판매비용 5억6000여만원을 천연가스로 대체한다고 가정하면 하루에 20억7000여만원이 들어가게 된다. 즉, 하루에 약 15억원 이상, 한 달에 450억원의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셈이다.

부존자원이 부족한 입장에서 원자력은 중요한 전력자산이다. 고리 1호기가 발전정지를 하고 있던 지난 4개월은 우리 원전의 안전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제 한수원은 뼈를 깎는 자기혁신과 엄중한 도덕률을 적용,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새롭게 출발하는 일만 남았다. 하루빨리 고리 1호기가 전력산업의 일선에서 본분을 다할 수 있는 날이 오길 기대해본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