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고 보잘것없는 것들을 위한 ‘생명예찬’
서양화가 이강화 작품전
내달 4일까지 인사아트센터서

개망초·엉겅퀴·강아지풀…
자연의 들숨과 날숨의 교감
강인한 생명력 화폭에 되살려


이 작가의 눈(眼)은 남다르다. 남들이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들풀이며 시멘트 담벼락을 뚫고 나온 연약한 초록 줄기에 주목한다. 그리곤 이들을 화폭으로 불러와 섬세하게 되살려낸다.

오는 30일부터 6월 4일까지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센터 1층에서 개인전을 여는 화가 이강화(51ㆍ세종대 교수·사진)의 눈에는 화려한 장미ㆍ양란 등이 별반 들어오지 않는다. 대신 엉겅퀴ㆍ도라지ㆍ개망초ㆍ나팔꽃ㆍ강아지풀ㆍ버들잎이 그를 사로잡는다.

“제게는 엉겅퀴ㆍ도라지가 더 강하게 와 닿습니다. 작고 소박한 것들에 깃든 생명력에 더 고무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일까? 눈을 아찔하게 하는 선홍빛 배경에 피어난 목련의 화제(畵題)는 ‘설렘’이다.

이렇듯 허황되고 거창한 이상(理想)보다 이 땅의 가장 낮고 하찮은 것들, 자연의 들숨과 날숨이 이강화에겐 더 숭고하게 다가온다. 그래서 그는 발로 그림을 그린다. 자연의 몸짓에서 답을 찾기 위해 자연을 걷고, 누비고, 성찰한다. 그리곤 교감한 것들에 그의 에너지를 담아 형상화한다. 

퇴락한 잿빛 담벼락 앞에 피어난 분홍빛 엉겅퀴를 그린 이강화의 신작 ‘축제’. 연약한 들풀에서
생명과 희망을 느끼기에 제목을‘ 축제’라 했다.

서울대 미대(서양화과)를 거쳐 파리 유학을 마치고 1994년 귀국한 이강화는 창녕-우포 늪지를 대담한 필치로 담아내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이후 늪 주위 들풀에 주목하게 됐다. 그런데 독특한 점은 들풀을 도시의 퇴색한 담벼락, 버려진 철판과 문짝, 녹슨 삽에 어우러지도록 한다는 점이다. 자연을 그대로 재현하기보다 자신의 직관에 의해 포착된 떨림을 독특하게 재해석하며 ‘이강화식 서늘한 풍경’을 구축하고 있는 것.

기법 또한 독특하다. 수성 안료에 아크릴을 덮고 미디엄을 써서 중후한 색상이 밑에서 배어나오게 한 뒤 들풀은 유화 물감으로 그린다.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는 법인데 이 둘을 능숙하게 혼합해 사용한다.

“오래 하다 보면 기술은 터득하게 된다. 문제는 자연의 숭고한 결이 얼마나 더 진솔하게 담기느냐에 있다”는 그는 누군가가 오랫동안 썼을법한 대문이며 작은 소반에 들풀을 그려넣음으로써 자연의 결을, 연약한 것들이 지닌 강인한 생명력을 더욱 도드라지게 하고 있다. 그는 들풀이야말로 ‘드로잉의 스승’이라고 말한다. 들풀의 자연스러운 선들은 ‘드로잉적 선’의 묘미를 가르쳐준다는 것.

어느새 32회째인 이번 개인전에 작가는 가로 6m에 이르는 작품 등 대작 중심으로 25점을 내건다. 부드럽고 섬세한 선과 면, 어둠과 밝음이 교차하는 그의 그림은 지나침이나 모자람을 찾기 힘들다. 또 여백의 개념을 도입해 팽팽한 긴장감과 에너지를 전해준다. (02)736-1020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