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민주당 새 지도부 정책으로 승부를
민주통합당(민주당)이 한명숙 대표 체제를 출범시켜며 본격적인 총선체제에 돌입했다. 새 지도부는 한 대표와 당 2인자로 부상한 문성근 최고위원 등 친(親)노무현 세력의 화려한 부활과 호남지역세 약화 등의 급변하는 환경 변화를 반영했다. 특히 이번 전당대회는 정당 사상 처음으로 모바일 투표를 실시했고, 시민개방형 국민경선 제도의 도입 등 새로운 정치 행태를 선보여 주목을 끌었다. 그러나 일반 국민의 최대 관심은 개편된 민주당이 수권정당으로서의 면모를 얼마나 잘 보여줄 것인가에 집중돼 있다. 신임 지도부가 직시해야 할 점이다.

지금 서민들은 하루하루 생활이 힘겹고, 불투명한 장래에 절망하고 있다. 정치권은 민생 안정과 더 깊어진 양극화를 완화하는 구체적 비전을 제시하는 데 모든 역량을 기울여야 한다. 그게 올해 총선과 대선의 관건이다. 민주당 역시 한 대표가 밝힌 대로 생활정치, 경제민주화, 복지국가 구상의 청사진을 보여줘야 한다.

집권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국민이 신뢰하고 수긍할 수 있는 실천 가능한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 일방적인 이명박(MB)정부 때리기를 통해 이삭줍기 식으로 일관한다면 민주당에 대한 희망은 없다. MB정부는 530만표라는 역대 대선 최다 득표차로 출범했다. 노무현 정부에 대한 국민 심판의 결과이기도 했다. 이를 교훈 삼아 야당으로서 MB정부의 정책오류는 당당히 비판하고 견제하며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나 한ㆍ미 FTA 폐기 등의 지나친 정책 발목잡기와 같은 정치적 공세는 지지를 받을 수 없다.

민주당은 또 자기반성에 철저해야 한다. 지난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당 소속 후보조차 내지 못했던 사실과 그 원인을 뼈저리게 통감해야 한다. 민주당 새 지도부는 당 안팎의 산적한 과제를 헤쳐나가야 하는 중책을 안고 있다. 양대 선거를 승리로 이끄는 것이 최대 과제지만 이를 위한 대대적인 인적 쇄신과 통합진보당과의 야권 통합 내지 연대가 현안이다. 민주통합당은 야권 통합 과정에서 시민사회 요구를 수용해 정강ㆍ정책을 대폭 ‘좌클릭’한 상태다. 통합세력 간 정책노선 투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 수권정당으로서의 이미지를 위해 경계해야 한다.

MB정부에 와서 경색국면을 가져온 남북관계에는 실용적 접근과 신중함이 동시에 요구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