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정일 사망>격랑 휩싸인 한반도 정세, 시계제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한반도 정세가 시계제로의 격랑 속으로 휘말리고 있다.

북한 권력의 유일존재였던 김 위원장의 사망으로 남북 관계와 북핵 6자회담 재개 흐름이 ‘전면 스톱’되는 것은 물론 북한 내부체제 정비를 둘러싼 극도의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이 동북아 정세 흐름을 지배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위원장의 사망이 현 한반도 정세에 끼치는 충격파는 가히 메가톤급이다.

현재 한반도를 둘러싸고 전개돼온 모든 이슈들이 김 위원장의 사망이라는 ‘블랙홀’로 빨려들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당장 초미의 현안으로 떠올랐던 북핵 6자회담 재개 흐름은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특히 6자회담 재개를 공식화할 것으로 예상됐던 22일 중국 베이징 북미 3차대화도 무기한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김 위원장의 사망으로 모든 상황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조심스럽게 대화가 모색되던 남북관계 역시 김 위원장의 사망 여파로 중단될 수밖에 없어 보인다.

이 같은 불확실성은 김정일 사후 북한 내부체제의 불안정성에 기인하고 있다.

특히 김정일 체제를 대신할 김정은 후계체제가 제대로 ‘안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급변사태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북한 내부는 당분간 ‘권력공백기’를 거치며 극도의 혼란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

김정일 사후의 체제정비 과정에서 군부의 ‘쿠데타’ 등 돌출변수가 발생한다면 상황은 더욱 복잡하고 불가측해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상황에 따라 북한의 붕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상정해야 한다는 시각이 대두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미ㆍ중ㆍ일ㆍ러 등 한반도 주변 4강의 외교적 대응 움직임이 주목된다.

동북아 안보의 중심무대인 한반도 정세가 유동화됨에 따라 미·중을 중심으로 ‘안정적 관리’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지만 북한 내부상황과 전략적 이해에 따라 서로 입장을 달리하며 치열한 이해각축을 벌일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북한 내부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남북한 사이에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 같은 복잡한 흐름 속에서 한국 정부로서는 다각도의 시나리오를 감안한 긴밀한 외교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한반도 정세 흐름은 김 위원장의 사망으로 완전히 새로운 국면으로 탈바꿈한 채그 향배를 예측하기 힘든 심연 속으로 빨려들어가는 모습이다.

홍석희 기자/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