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계 물가高 충격…의식주 빼곤 다 줄인다
3분기 저소득층의 엥겔계수가 7년 만에 가장 높아진 것은 고(高)물가로 서민 가계가 받은 충격을 그대로 보여준다.

가격이 올라도 소비를 크게 줄일 수 없는 게 식료품이기 때문이다.

식료품을 포함한 의식주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서민층은 문화 등 다른 분야에 대한 지출을 줄이면서 생활이 팍팍해질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저소득층 의식주 비용이 전체 소비지출의 절반=20일 통계청의 3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소득 1분위(하위 20%)의 전체 소비지출은 122만3천원으로 작년 3분기보다 5.7% 증가한 반면 식료품·비주류 음료을 사는 데 쓴 비용은 27만9천원으로 7.2% 늘었다.

이에 따라 1분위의 엥겔계수는 22.8%로 작년의 22.5%보다 더 악화됐다. 2004년 24.4% 다음으로 가장 높아 7년 만에 최고 수준이기도 하다.

최근 외식 증가 추세를 고려해 소비지출 항목 가운데 일반 식당, 배달 음식, 패스트푸드 등에 쓴 비용인 ‘식사비’까지 포함하면 1분위의 실질적 엥겔 계수는 33.0%까지 올라간다. 저소득층은 소비의 3분의 1을 식생활에 쓴 셈이다.

이런 수준은 극단적인 비교지만 상위 20%인 5분위에 견줘보면 쉽게 알 수 있다.

5분위 엥겔 계수는 12.2%로 1분위의 절반 수준이며, 전년 12.4%에서 오히려 개선됐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의 증가율도 3.8%에 그쳤다.

집세가 오르면서 주거비 부담 역시 서민들이 상대적으로 더 늘었다.

월세와 주택 유지·수리비용을 포함한 주거 및 수도·광열비 지출은 3분기에 1분위는 8.0%나 늘었지만 5분위는 오히려 0.4% 떨어졌다.

여기에 의류·신발 비용까지 더하면 1분위가 ‘의식주(의류·신발+식료품·비주류 음료+식사비+주거·수도·광열)’에 지출한 돈은 61만6천원으로 소비지출의 50.3%를 차지했다.

◇얇아진 지갑…의식주外 지출 줄인다=이처럼 필수적인 의식주 비용 부담이 커질수록 지갑은 얇아지고 다른 물건이나 서비스 이용에 쓰는 돈은 줄어든다. 대표적인 게 문화생활 비용이다.

1분위의 공연 관람 등 오락·문화 비용은 3분기에 4만9천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5.8% 줄었다. 5분위는 최근 경기가 둔화 흐름에서도 해당 지출을 작년 3분기 23만6천원에서 올 3분기 24만4천원으로 3.5% 늘린 것과 대조를 보였다. 특히 여행비는 5분위가 6만3천원인데 반해 1분위는 5천원으로 10분의 1도 안됐다.

교육비는 1분위의 지출이 3분기 10만1천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9.4% 증가하긴 했지만 5분위는 이보다 6배 가까이 많은 60만1천원으로 격차는 여전했다.

고물가 여파는 전체 평균으로 봐도 가계의 소비지출에 변화를 몰고 왔다.

3분기 전체 가구의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항목별 비중은 식료품·비주류음료(0.16%포인트 상승), 교통(0.76%p), 의류·신발(0.17%p) 등 필수 지출에서 높아진 반면 주류·담배(-0.06%p), 가정용품·가사서비스(-0.17%p), 오락·문화(-0.05%p), 보건(-0.06%p)등에선 하락했다. 먹고 사는 데 지장 없는 지출은 줄이고 있는 것이다.

◇물가 부담 여전…단기 재상승 우려=이런 상황은 4분기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지난달 가까스로 3%대로 떨어진 소비자물가가 이달에 다시 4%대 상승을 넘보며 단기 재상승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11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4%를 웃돌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작년 10월과 11월에 4.1%로 올랐다가 3.3%로 안정된 만큼지난달에서는 물가 상승률을 떨어뜨리는 쪽으로 작용했던 기저효과가 이번 달에는 반대로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더욱이 10월 수입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6.0% 올라 6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나타냈고 국제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110달러선을 오르내리고 있다.

공공요금은 철도, 도로통행료를 올리는데 이어 원가부담이 커진 전기요금도 겨울철 피크를 앞두고 다시 올릴 기세다. 도시가스 요금이 지난달 오른 데 이어 전기요금까지 더 오르면 월동용 난방비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

논란 끝에는 연내 인상은 물 건너갔지만 서울의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요금도 내년 초에는 인상이 불가피해 보인다. 우유 가격이 오르고 맥주 값도 들썩이고 있어 당분간 가계의 물가 부담은 줄지 않을 전망이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