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대통령 사저 의혹, 놓아두면 癌 된다
이명박 대통령의 퇴임 후 거처할 사저(私邸) 부지 매입을 둘러싼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당초 이 대통령은 서울 논현동 집으로 돌아가려 했으나 경호상 안전 등을 이유로 지난 5월 내곡동에 부지를 새로 매입했다. 그러나 그 과정이 투명하지 못해 여러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국가 예산이 들어가는 경호시설 부지 규모가 다른 전임 대통령들에 비해 지나치게 크다는 비난도 거세다.
논란의 핵심은 사저 부지를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 씨 명의로 샀다는 점이다. 이 대통령 이름으로 직접 매입할 경우 땅값 상승과 건축 시 안전 문제가 생겨 그랬다는 청와대 설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토지 거래는 통상 막판까지 누가 사는지 몰라도 무방하다. 굳이 아들 이름으로 살 이유가 없다. 위장 상속의 비판이 나와도 할 말이 없는 것이다. 더욱이 시형 씨는 3년차 직장인으로 땅값만 10억원이 넘는 부동산을 사들일 처지가 아니다. 은행 대출을 받고 친척에게 빌렸다는 해명 역시 의문이다. 설령 그렇더라도 원금은 고사하고 매월 500만원 이상의 이자를 감당할 수 있는가. ‘적절한 시점’에 이 대통령이 되사들일 것이란 부연설명은 더욱 군색하다. 취득세ㆍ등록세 등 군돈을 들여도 상관없다는 말인가. 이 대통령이 직접 내용을 설명하고 의혹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나아가 40억원이 넘는 사저 경호시설 부지는 너무 크고 비싸다. 그동안 경호시설 부지 비용을 가장 많이 썼다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경우가 9억5000만원 수준이었다. 또 아방궁 논란이 일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 경남 봉하마을 사저 경호실은 부지 비용이 2억6000만원에 불과했다. 그보다 무려 4~15배나 많은 돈이 들어갔다. 기업인 출신 대통령으로 그를 늘 괴롭히던 돈 문제 시비를 그나마 사재 기부 등으로 무마해온 처지에 긁어 부스럼 만들 까닭이 없다. 지금이라도 과감히 규모를 줄여야 마땅하다.
경호와 품위 유지 등 전직 대통령에 대한 적절한 예우는 당연하다. 다만 그 정도가 국민의 상식과 눈높이에 맞아야 한다. 대통령 스스로 더 겸손하고 검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퇴임 이후를 생각해 국가 예산으로 일해재단을 만들었다가 호된 비판을 받았다.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퇴임 후 개인 사무실을 아예 뉴욕 할렘가에 열었다. 높은 대문과 위압적인 경호원들이 지키고 선 호화주택에 갇힌 ‘전직 대통령’은 국민들의 존경을 받기 어렵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