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카다피 몰락 다음 수순은 시리아ㆍ북한
42년 동안 리비아를 철권 통치해온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이 사실상 막을 내렸다. 리비아 시민군은 21일 카다피 최후 거점인 수도 트리폴리의 대부분을 장악했고, 친위부대를 지휘하던 카다피 아들들까지 생포했다. 관저에서 결사항전에 나선 카다피 신병 확보도 시간문제로 보인다. 이로써 지난 2월 튀니지의 벤 알리를 붕괴시킨 ‘재스민 혁명’은 이집트의 호스니 무바라크에 이어 리비아의 카다피까지 권좌에서 끌어내리게 됐다.

크고 작은 국제 테러와 대량살상을 일삼은 ‘중동의 미친개’ 카다피 정권 몰락은 아랍연맹 묵인, 미국 영국 프랑스 등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공습, 시민군의 민주화 의지 등이 이뤄낸 합작품이다. 장기 독재에 항거하는 시민들을 전투기와 대포로 공격하는 반인륜적 범죄에 국제사회가 공동보조를 취한 것이다. ‘내정’ 명분의 인명 살상을 서슴지 않는 독재정권은 더 이상 지탱할 수 없다는 세계적 흐름을 실감케 한다.

지난 3월 이후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군 2000여명을 학살한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도 예외일 수 없다. 부자(父子)세습 정권인 알아사드 친위대는 지금도 대공포ㆍ장갑차ㆍ군함 등으로 연일 수십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다. 국제사회는 시리아의 지정학적 위상 등으로 군사개입을 주저하나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한 내부의 민주화 요구까지 잠재울 수 없다는 점을 알아사드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는 또 김정일 북한 정권에게도 시사하는 바 크다. 아웅산 테러, KAL기 폭파,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핵 도발까지 서슴지 않는 세계 유일의 3대 세습체제 붕괴는 시간문제다. 국제사회가 무모한 도발과 테러를 주시하고 있고 후견인인 중국 러시아도 이를 원치 않는다. 김정일이 ‘강성대국’ 환상에서 깨어나지 않으면 카다피 전철을 밟을지 모른다.

차제에 우리는 이런 중동ㆍ이슬람 체제 변화를 경제협력의 확대 기회로 삼아야 한다. 토목 건설, 원유 수입 등 기존 경제협력을 유지하면서 수천억달러 규모의 재건사업에 참여할 정치ㆍ외교ㆍ경제적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평화유지군 파병 등에도 불구하고 재건사업 참여가 부진한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사례는 타산지석이다. 정부는 리비아 시민군 지지 표명과 과감한 식량ㆍ의약품 지원 등으로 포스트 카다피 체제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중동 전문가 육성과 네트워크 다변화 전략은 더 말할 나위 없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