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씨네;리뷰] ‘집 이야기’ 집과 가족, 잊고 있던 가치에 대한 따뜻한 되새김
이미지중앙

사진=영화 '집 이야기' 스틸


[헤럴드경제 스타&컬처팀=장수정 기자] ‘집 이야기’는 아버지와 딸의 화해를 다룬 가족영화다. 보편적인 소재에 또 뭐가 특별한게 있을까 싶지만, 익숙해서 지나쳤던 가족의 속내를 천천히 들여다보는 것만으로도 뭉클함이 만들어진다.

‘집 이야기’는 혼자 서울 살이를 하던 신문사 편집기자 은서(이유영 분)가 정착할 집을 찾아 이사를 거듭하던 중 아버지가 있는 고향 집으로 돌아가게 되면서 그동안 잊고 지냈던 가족들의 흔적을 마주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발품을 팔면서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으려 노력 하지만, 은서는 어쩐지 마음에 쏙 드는 집을 발견하지 못한다. ‘집 이야기’는 빛도 잘 들고 깔끔하지만, 텅 빈 집을 둘러보며 망설이는 은서의 감정을 섬세하게 포착하며 그의 진짜 집을 찾기 여정을 궁금하게 만든다.

영화에서 집은 단순히 머무는 공간이 아니다. 캐릭터의 성격이 드러나고, 쌓인 시간들을 대변하는 상징처럼 활용된다. 이혼한 뒤 새로운 인연을 만나 제주도에 정착한 은서 어머니의 집은 아름다운 배경과 깔끔한 외관은 물론, 집 안 곳곳에 놓인 가족사진을 통해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특히 손만 뻗으면 닿을 수 있게 귤 바구니가 여기저기 놓여 있어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집을 구하지 못한 은서가 잠시 대여 공간에 머무를 때도, 필요한 것은 다 갖춰진 그 공간에서는 온기가 느껴지지 않는다. 정해진 자리에 오차 없이 정리된 물건들을 보며 은서의 어머니는 오래 머무르라고 만든 곳은 아니라는 말을 중얼거리기도 한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아버지 진철의 집에는 지나간 사람과 시간이 더욱 켜켜이 쌓여 있다. 잘 정돈된 집에서는 진철의 깔끔한 성격이 짐작되지만, 낡은 살림살이와 삐걱대는 문 등 부지런한 진철도 어쩌지 못하는 시간의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있다.

이미지중앙

사진=영화 '집 이야기' 스틸


마음에 드는 집을 찾을 때까지 아버지의 집에 머무르기로 한 은서는 오랜만에 찾아 온 이곳에서 진짜 집의 의미를 깨닫고, 자연스럽게 아버지의 속마음도 느끼게 된다. 처음에는 낡고 투박한 집이 불편하지만 지내다보면 자연스럽게 온기가 쌓이듯, 미처 알지 못했던 아버지의 진심도 느리게 다가오는 것이다.

어머니와 헤어지고, 언니와는 다퉈 인연을 끊은 만큼 표현이 서툰 아버지를 무작정 이해하라고 강요하지 않는 것이 ‘집 이야기’의 가장 큰 장점이다. 창문 하나 없는 방에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적 방식을 고수하는 열쇠공 진철의 모습 등 그의 일방적인 고집도 마냥 감싸지는 않는다. 은서와 진철이 함께 밥을 먹고, 짧지만 서로의 안부를 확인하는 등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조금씩 느껴지는 서로를 향한 배려가 따뜻함을 느끼게 한다.

끝까지 담백한 시선을 유지하는 뚝심도 돋보인다. 진철과 은서, 또 가족이 화해하는 과정을 직접 담지 않으면서 현실감을 유지한다. 서로를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그럼에도 한결 편안해진 그들의 모습이 뭉클한 여운을 남긴다.

극적인 표현 없이도, 아버지의 숨은 애틋함을 납득시킨 아버지 강신일의 섬세한 내면 연기 또한 가족들의 말하지 않는 진심에 대해 한 번쯤 생각해보게 만드는 힘을 가진다.
cultu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